항목
|
1.1.3. 조직 구성
|
키워드
|
실무조직, 위원회, 실무협의체
|
인증기준
|
최고경영자는 정보보호와 개인정보보호의 효과적 구현을 위한 실무조직, 조직 전반의 정보보호와 개인정보보호 관련 주요 사항을 검토 및 의결할 수 있는 위원회, 전사적 보호활동을 위한 부서별 정보보호와 개인정보보호 담당자로 구성된 협의체를 구성하여 운영하여야 한다.
|
주요 확인사항
|
정보보호 최고책임자 및 개인정보 보호책임자의 업무를 지원하고 조직의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활동을 체계적으로 이행하기 위하여 전문성을 갖춘 실무조직을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는가?
조직 전반에 걸친 중요한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련사항에 대하여 검토, 승인 및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는가?
전사적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활동을 위하여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련 담당자 및 부서별 담당자로 구성된 실무 협의체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는가?
|
관련 법규
|
개인정보 보호법 제29조(안전조치의무)
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제4조(내부관리계획의 수립·시행)
개인정보의 기술적·관리적 보호조치 기준 제3조(내부관리계획의 수립·시행)
|
증거자료
(예시)
|
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규정/회의록
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실무 협의체 규정/회의록
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조직도
내부관리계획
직무기술서
|
결함사례
|
사례 1 :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위원회를 구성하였으나, 임원 등 경영진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실무부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어 조직의 중요 정보 및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사항을 결정할 수 없는 경우
사례 2 : 내부 지침에 따라 중요 정보처리부서 및 개인정보처리부서의 장(팀장급)으로 구성된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실무 협의체를 구성하였으나, 장기간 운영 실적이 없는 경우
사례 3 :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위원회를 개최하였으나, 연간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계획 및 교육 계획, 예산 및 인력 등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주요 사항이 검토 및 의사 결정이 되지 않은 경우
|
'▶ ISMS-P 인증심사원 (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) > └ ISMS-P 인증기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.1.6. 자원 할당 (0) | 2023.04.02 |
---|---|
1.1.5. 정책 수립 (0) | 2023.04.02 |
1.1.4. 범위 설정 (0) | 2023.04.02 |
1.1.2. 최고책임자의 지정 (0) | 2023.04.02 |
1.1.1. 경영진의 참여 (0) | 2023.04.02 |
댓글